728x90 반응형 지역사회 서비스투자 지역사회 서비스투자 사업은 지역의 특성과 수요에 부합하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복지를 활성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 원칙을 적용하되, 지역별, 사업에 따라 기준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 아동/청소년 심리지원사업(중위소득160%), 장애인보조기기렌탈/비만아동건강관리서비스(소득기준없음) 선정 기준 해당 서비스 별로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정한 서비스 이용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연령 기준 - 지역별, 서비스별로 다르게 적용 선정 우선순위 - 지역 수요 및 예산 등 상황을 감안하여 지자체의 장이 결정 서비스 내용 지자체가 지역 특성 및 주민 수요에 맞게 발굴ㆍ기획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복지부의 표준모델을 포함해 지자체.. 2023. 3. 18. 장애인 의료비지원 장애인 의료비지원 사업은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장애인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여 생활안정 및 의료 보장을 도모하는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 ① 「의료급여법」에 의한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인 등록장애인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중 근로능력세대의 등록장애인 장애인 의료비는 장애인에게만 지원되므로 당해 장애인과 세대를 같이하는 비장애인인 가족원은 지원대상이 아님 ② 건강보험의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자인 등록장애인 (만성질환자 및 18세 미만 등록장애인) 서비스 내용 지원대상자가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본인부담금의 일부 또는 전액을 지원합니다. 신청 방법 지원대상자가 의료기관 방문시 장애인복지카드를 제시합니다. 2023. 3. 17. 발달재활서비스 발달재활서비스 사업은 장애아동의 인지, 의사소통, 적응행동, 감각, 운동 등의 기능향상과 행동발달을 위한 재활서비스를 지원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합니다. 소득 기준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소득별로 차등 지원합니다. 기타 요건 장애인복지법상 등록장애아동(뇌병변, 지적, 자폐성, 청각, 언어, 시각장애) 입니다. 만 6세 미만의 경우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와 검사자료로 대체 가능 시각 장애아동(중복 장애 제외)의 경우 발달재활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인지 여부를 별도로 판단 서비스 내용 발달재활서비스에 소요되는 비용을 아래와 같이 차등 지원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 월 25만원 지원 (본인부담금 면제) 차상위계층 - 월 23만원 (본인부담금 2만.. 2023. 3. 17. 청년 마음건강지원 청년 마음건강지원 사업은 청년의 심리 건강 회복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이 되도록 돕는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소득(재산) 기준은 없습니다. * 2023년 기준, 1989년 1월 1일 ~ 2004년 12월 31일 출생한 자 모두 해당됩니다. 우선 지원 대상 1순위 - 자립준비청년, 보호연장아동 2순위 -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의뢰한 청년 선정 기준 시군구 담당자가 대상자의 자격기준 해당여부를 확인하여 예산 범위 내에서 이용자를 선정합니다. 1순위 - 자립준비청년, 보호연장아동 * 본인부담금 면제 2순위 -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자 * 10% 본인부담금(서비스 A형과 B형 중 택1) 책정 3순위 - 일반청년 * 10%.. 2023. 3. 17. 이전 1234 다음 728x90 반응형